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시험/부동산학개론

2021 부동산학개론 총론 초간단 정리.

by Planetarium. 2020. 11. 18.

다음시험까지 1년 남짓.

 

에듀윌 인강을 들으며- 오늘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공부를 나무 그리기에 비유해보자. 

 

나무를 그릴때는 우선 근간이 되는 기둥을 세워야 한다. 

 

튼튼한 기둥을 세운 뒤, 나뭇가지와 나뭇잎을 세세하게 그려 나간다.

 

이 과정을 거쳐야 내가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을 '인지' 할 수 있게된다. (*메타 인지)

 

내가 모르는걸 모른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방송에서도 증명했듯, 이는 모의고사 석차 0.1%의 800명과 평범한 학생 700명간의 유일한 차이였다고 한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534&cid=59039&categoryId=59044

---------------------------------------------------------------------------------------

 

부동산학개론은 크게 부동산학 총론, 부동산학 각론, 감정평가론으로 나뉘어져 있다. (-기둥)

 

(시험은 40문제이며) 총론에서 3문제, 각론에서 30문제, 감정평가론에서 7문제가(±1) 출제된다.

 

*오늘 공부한 부분은 총론이며, 3문제 가량 출제가 된다.

 

총론은 네 가지로 나뉜다. 

˙부동산학 서설 ˙부동산의 개념 ˙부동산의 분류 ˙부동산의 특성(-가지)

 

부동산학 서설은 *중요도가 낮기에 비중을 두지 않는다.

부동산의 개념은 *중요도가 높고 난이도는 낮다.

부동산의 분류는 *중요도가 높고 난이도는 낮다.

부동산의 특성은 *중요도가 높고 난이도도 높으며, 범위 또한 넓기에 시간을 많이 뺏기지 않도록 한다.

--------------------------------------------------------------------------------------------------------------------------

 

부동산의 개념- 법, 경제, 물리적개념

 

법적 부동산의 개념: *협의의 부동산, 광의의 부동산 이해

                           협의의 부동산은 토지와 그 정착물. 광의의 부동산은 협의의 부동산에 의제부동산(준부동산)을

                           합한 개념.

경제적 부동산의 개념: 자산, 자본, 생산요소, 소비재, 상품

물리적(기술적) 부동산의 개념: 자연, 공간, 위치, 환경

 

부동산의 분류- 택지, 부지, 대지 이해 ㅣ부지>대지≥택지

 

택지: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로서 주거용˙상업용˙공업용으로 이용 중이거나 이용가능한 토지

부지: 대지보다 넓은 뜻으로 사용하는 포괄적인 용어  ※학원 부지, 철도용 부지 등

대지: 건축할 수 있는 토지(지목이 전, 답이라면 건축 불가능하나 형질변경허가시 건축가능)

 

후보지와 이행지: 후보지란 택지, 농지 임지 지역 상호간에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하며

                       이행지란 택지, 농지 임지 내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를 말한다. 

 

필지: 모르는 상태

획지: 모르는 상태

나지: 건물이 올라가지 않은 토지(등기부가 깨끗함)

건부지: 건물이 올라가있는 토지

 

부동산의 특성- *토지의 특성, 건물의 특성

토지의특성 부동성: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또는 비이동성

               영속성: 내구성 불변성 비소멸성 불괴성

               부증성: 비생산성 불확장성 면적의 유한성 수량고정성

               개별성: 비대체성 비동질성 이질성

               인접성: 연속성, 연결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