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시험4

부동산공시법 지적제도 총칙, 토지의 등록, 지적공부 및 부동산종합공부 정리 공시법 Ⅰ.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부동산 자체의 내용과 권리관계를 알림으로써 거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법 ■지적제도 총칙 지적제도: 지적소관청이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 지적의 3요소: 토지, 지적공부, 등록 토지: 대한민국의 모든 영토, 최대만조위를 기준으로 그 위의 토지는 모두 등록대상이다. 지적공부: 토지대장,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 대지권등록부, 지적도, 임야도 및 경계점좌표등록부 등의 /토지의 표시와 토지 소유자 등을 기록한 대장 및 도면을 말한다. 등록: 표시와 소유자 등을 지적공부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용어의 정리 지적소관청: 지적공부를 관리하는 특별자치시장, 시장, 군수, 구청장을 말한다. 토지의 표시: 지적공부에 토지의 소재,.. 2020. 11. 23.
[공인중개사법령] 총칙, 공인중개사제도, 개설등록 및 결격사유 중개사법은 범위는 좁고 난이도 또한 낮은 편이기에 충분히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과목이다. 그렇기에 시험에서는 말장난을 하는 경우를 조심해야 하고, 단어에 주의하며 공부해야 한다. 1. 총칙 1)제정목적: 이 법은 공인중개사의 업무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그 전문성을 제고하고 부동산중개업을 건전하게 육성하여 국민경제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경제에 이바지한다고 해서 국민의 이익실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은 아님. 2) 용어의 정리 중개: 중개대상물, 권리의 득실변경, 알선 중개업: 의뢰, 보수, 중개를 업으로 함. -> 중개와 중개업의 필요 3조건 숙지. 개업공인중개사: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을 한 자. 분사무소: 법인지사를 말한다. 대리업무: 경매를 말한다. 소속공인중개사: 개업공인중개사에 소속된.. 2020. 11. 20.
2021 민법총칙 초간단 정리 part 1 (법률행위) 민법 총칙은 총 10문제, 시험에서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총칙은 민법에서의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뼈대를 탄탄히 쌓아놓아야 한다. 총칙이라는 나무를 그리고 가지를 뻗어나가 보자. 총칙은 권리변동, 법률행위, 의사표시, 대리, 무효와 취소, 조건과 기한으로 구성되어있다. 2020년 제31회 민법 시험에서는 법률행위 1문제, 의사표시 2문제, 대리 3문제, 무효와 취소 3문제, 조건과 기한 1문제가 각각 출제되었다. 법률행위 파트는 1)법률행위 일반, 2)법률행위 요건, 3)법률행위 목적으로 나뉜다. 1) 법률행위 일반 법률행위의 의의: 법률행위는 의사표시를 필수로 하는 법률요건이다. 법률행위의 종류: 단독행위, 계약, 합동행위(시험에 나온다면 이 중 계약이 99% 출제된다.. 2020. 11. 19.
2021 부동산학개론 총론 초간단 정리. 다음시험까지 1년 남짓. 에듀윌 인강을 들으며- 오늘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공부를 나무 그리기에 비유해보자. 나무를 그릴때는 우선 근간이 되는 기둥을 세워야 한다. 튼튼한 기둥을 세운 뒤, 나뭇가지와 나뭇잎을 세세하게 그려 나간다. 이 과정을 거쳐야 내가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을 '인지' 할 수 있게된다. (*메타 인지) 내가 모르는걸 모른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방송에서도 증명했듯, 이는 모의고사 석차 0.1%의 800명과 평범한 학생 700명간의 유일한 차이였다고 한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534&cid=59039&categoryId=59044 ----------------------------------------------------.. 2020. 11. 18.